I and II. Evaluation of the atmospheric deposition using dissolved components in rainwater and mercury in Antarctic snow, III. Provenance and environmental change recorded in authigenic beryllium and detrital hafnium isotopes in marine sediment of the Bering Sea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지구환경과학부, 2013. 2. 허영숙. 지구는 그 변화를 스스로 기록하는데, 그 방법 중 하나로 열역학적 상 전이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안정한 물질을 생성한다. 이 물질들은 생성 당시의 환경을 반영하고 있어 당시의 지구 환경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본 학위 논문은 주로 대기와 해양에서 응결 및 침전을 통하여 기록된 지구의 변화를 다루고 있다. 제 2장과 3장에서는 빗물의 성분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국지적인 영향을 어떻게 고려하여야 할 지를 다룬다. 연구는 국내에서 배경대기를 연구...

Full descriptio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 한영철
Other Authors: 허영숙, Yeongcheol Han,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Format: Thesis
Language:English
Published: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Subjects:
550
Online Access:https://hdl.handle.net/10371/121183
id ftseoulnuniv:oai:s-space.snu.ac.kr:10371/121183
record_format openpolar
spelling ftseoulnuniv:oai:s-space.snu.ac.kr:10371/121183 2023-05-15T13:59:16+02:00 I and II. Evaluation of the atmospheric deposition using dissolved components in rainwater and mercury in Antarctic snow, III. Provenance and environmental change recorded in authigenic beryllium and detrital hafnium isotopes in marine sediment of the Bering Sea I, II. 강수 내 용존 성분 및 남극 눈에 포함된 수은 농도 연구를 통한 대기 침적 평가, III. 자생성분 내 베릴륨 및 쇄설성분 내 하프늄 동위원소 비를 이용한 베링해 해저 퇴적물의 기원 및 퇴적 환경 변화 연구 한영철 허영숙 Yeongcheol Han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2013-02 application/pdf 6486547 bytes https://hdl.handle.net/10371/121183 en eng 서울대학교 대학원 000000009478 https://hdl.handle.net/10371/121183 550 Thesis 2013 ftseoulnuniv 2023-02-10T01:49:25Z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지구환경과학부, 2013. 2. 허영숙. 지구는 그 변화를 스스로 기록하는데, 그 방법 중 하나로 열역학적 상 전이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안정한 물질을 생성한다. 이 물질들은 생성 당시의 환경을 반영하고 있어 당시의 지구 환경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본 학위 논문은 주로 대기와 해양에서 응결 및 침전을 통하여 기록된 지구의 변화를 다루고 있다. 제 2장과 3장에서는 빗물의 성분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국지적인 영향을 어떻게 고려하여야 할 지를 다룬다. 연구는 국내에서 배경대기를 연구하기 위하여 세워진 백령도 대기종합측정소(2장), 제주도 고산관측소(3장) 두 지점에서 이루어졌다. 백령도 대기종합측정소에서는 강한 풍속 및 주변 지형•지물의 영향으로 수 십 미터의 국지적인 범위 내에서 위치에 따라 빗물 시료 채집량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고, 그 결과 각각의 빗물 성분 역시 상이하였다. 이와 같은 국지적 영향을 보다 자세하게 연구하기 위하여 제주도 고산관측소에서 지난 14년간 관찰된 강수 화학 자료를 획득하여 다양한 통계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풍향•풍속에 따라 국지적으로 발생한 에어러솔이 빗물 성분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배경 대기 관측의 일환으로 빗물의 조성을 연구할 때 시료 채집 장소를 적절하게 선정하고. 장기 관측을 통하여 해당 지점에서의 국지적인 영향을 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제 4, 5, 6장에서는 남극 눈에 포함된 수은 농도와 그 의미를 연구하였다. 4장에서는 표층 눈 내 수은 농도, 5, 6장에서는 깊이에 따른 수은 농도 변화를 통하여 남극 고원 지대에서의 수은 거동이 눈의 수은 농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연구하였다. 여름철에 발생하는 일련의 광화학 반응에 의하여 수은은 대기 중 안정한 Hg0에서 반응성이 큰Hg2+로 산화된 후 지표로 침전되면서 표층 눈 내 수은 농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깊이에 따른 수은 농도 변화를 보면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 범위를 갖는데, 이는 침전된 수은이 또 다른 광화학 반응에 의하여 Hg0으로 환원되면서 대기 중으로 다시 방출되기 때문이다. 양 방향의 수은 교환의 결과로 눈 내에 남겨져 하부에 묻힌 수은은 전지구적인 수은 순환으로부터 반영구적으로 격리되는데, 그 양은 고원 지대로 수송되는 해염의 양이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제 7장에서는 베링해의 Bowers Ridge에서 국제공동해양시추사업(Integrated Ocean Drilling Program)을 통하여 획득된 해저 퇴적물 중32 - 40 ka 기간에 해당하는 퇴적물의 자생성분 내 10Be/9Be 및 쇄설성분 내 176Hf/177Hf비를 측정하였다. 자생성분은 생성 당시의 해수 성분을 반영하고 쇄설성분은 입자의 기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10Be/9Be 은 현재 해수의 절반 수준의 값을 가졌는데, 생물 활동 및 강을 통한 9Be와 쇄설물의 유입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32 ka에서 관찰되는 상대적으로 높은 10Be/9Be값은 지구 자기장 감소에 따른 대기 중 10Be의 생성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This thesis views precipitation as a means that the Earth employs to record its change, because the precipitates reflect environmental conditions at the time of formation. It consists of six chapters that deal with compositions of precipitates forming in the atmosphere and ocean. In Chapters 2 and 3, the composition of rainwater is investigated with a major focus on local condi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monitoring the rainwater composition. The studies were conducted ... Thesis Antarc* Antarctic Bering Sea Seoul National University: S-Space Antarctic Bering Sea Bowers ENVELOPE(164.083,164.083,-85.000,-85.000)
institution Open Polar
collec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Space
op_collection_id ftseoulnuniv
language English
topic 550
spellingShingle 550
한영철
I and II. Evaluation of the atmospheric deposition using dissolved components in rainwater and mercury in Antarctic snow, III. Provenance and environmental change recorded in authigenic beryllium and detrital hafnium isotopes in marine sediment of the Bering Sea
topic_facet 550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지구환경과학부, 2013. 2. 허영숙. 지구는 그 변화를 스스로 기록하는데, 그 방법 중 하나로 열역학적 상 전이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안정한 물질을 생성한다. 이 물질들은 생성 당시의 환경을 반영하고 있어 당시의 지구 환경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본 학위 논문은 주로 대기와 해양에서 응결 및 침전을 통하여 기록된 지구의 변화를 다루고 있다. 제 2장과 3장에서는 빗물의 성분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국지적인 영향을 어떻게 고려하여야 할 지를 다룬다. 연구는 국내에서 배경대기를 연구하기 위하여 세워진 백령도 대기종합측정소(2장), 제주도 고산관측소(3장) 두 지점에서 이루어졌다. 백령도 대기종합측정소에서는 강한 풍속 및 주변 지형•지물의 영향으로 수 십 미터의 국지적인 범위 내에서 위치에 따라 빗물 시료 채집량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고, 그 결과 각각의 빗물 성분 역시 상이하였다. 이와 같은 국지적 영향을 보다 자세하게 연구하기 위하여 제주도 고산관측소에서 지난 14년간 관찰된 강수 화학 자료를 획득하여 다양한 통계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풍향•풍속에 따라 국지적으로 발생한 에어러솔이 빗물 성분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배경 대기 관측의 일환으로 빗물의 조성을 연구할 때 시료 채집 장소를 적절하게 선정하고. 장기 관측을 통하여 해당 지점에서의 국지적인 영향을 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제 4, 5, 6장에서는 남극 눈에 포함된 수은 농도와 그 의미를 연구하였다. 4장에서는 표층 눈 내 수은 농도, 5, 6장에서는 깊이에 따른 수은 농도 변화를 통하여 남극 고원 지대에서의 수은 거동이 눈의 수은 농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연구하였다. 여름철에 발생하는 일련의 광화학 반응에 의하여 수은은 대기 중 안정한 Hg0에서 반응성이 큰Hg2+로 산화된 후 지표로 침전되면서 표층 눈 내 수은 농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깊이에 따른 수은 농도 변화를 보면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 범위를 갖는데, 이는 침전된 수은이 또 다른 광화학 반응에 의하여 Hg0으로 환원되면서 대기 중으로 다시 방출되기 때문이다. 양 방향의 수은 교환의 결과로 눈 내에 남겨져 하부에 묻힌 수은은 전지구적인 수은 순환으로부터 반영구적으로 격리되는데, 그 양은 고원 지대로 수송되는 해염의 양이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제 7장에서는 베링해의 Bowers Ridge에서 국제공동해양시추사업(Integrated Ocean Drilling Program)을 통하여 획득된 해저 퇴적물 중32 - 40 ka 기간에 해당하는 퇴적물의 자생성분 내 10Be/9Be 및 쇄설성분 내 176Hf/177Hf비를 측정하였다. 자생성분은 생성 당시의 해수 성분을 반영하고 쇄설성분은 입자의 기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10Be/9Be 은 현재 해수의 절반 수준의 값을 가졌는데, 생물 활동 및 강을 통한 9Be와 쇄설물의 유입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32 ka에서 관찰되는 상대적으로 높은 10Be/9Be값은 지구 자기장 감소에 따른 대기 중 10Be의 생성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This thesis views precipitation as a means that the Earth employs to record its change, because the precipitates reflect environmental conditions at the time of formation. It consists of six chapters that deal with compositions of precipitates forming in the atmosphere and ocean. In Chapters 2 and 3, the composition of rainwater is investigated with a major focus on local condi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monitoring the rainwater composition. The studies were conducted ...
author2 허영숙
Yeongcheol Han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format Thesis
author 한영철
author_facet 한영철
author_sort 한영철
title I and II. Evaluation of the atmospheric deposition using dissolved components in rainwater and mercury in Antarctic snow, III. Provenance and environmental change recorded in authigenic beryllium and detrital hafnium isotopes in marine sediment of the Bering Sea
title_short I and II. Evaluation of the atmospheric deposition using dissolved components in rainwater and mercury in Antarctic snow, III. Provenance and environmental change recorded in authigenic beryllium and detrital hafnium isotopes in marine sediment of the Bering Sea
title_full I and II. Evaluation of the atmospheric deposition using dissolved components in rainwater and mercury in Antarctic snow, III. Provenance and environmental change recorded in authigenic beryllium and detrital hafnium isotopes in marine sediment of the Bering Sea
title_fullStr I and II. Evaluation of the atmospheric deposition using dissolved components in rainwater and mercury in Antarctic snow, III. Provenance and environmental change recorded in authigenic beryllium and detrital hafnium isotopes in marine sediment of the Bering Sea
title_full_unstemmed I and II. Evaluation of the atmospheric deposition using dissolved components in rainwater and mercury in Antarctic snow, III. Provenance and environmental change recorded in authigenic beryllium and detrital hafnium isotopes in marine sediment of the Bering Sea
title_sort i and ii. evaluation of the atmospheric deposition using dissolved components in rainwater and mercury in antarctic snow, iii. provenance and environmental change recorded in authigenic beryllium and detrital hafnium isotopes in marine sediment of the bering sea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publishDate 2013
url https://hdl.handle.net/10371/121183
long_lat ENVELOPE(164.083,164.083,-85.000,-85.000)
geographic Antarctic
Bering Sea
Bowers
geographic_facet Antarctic
Bering Sea
Bowers
genre Antarc*
Antarctic
Bering Sea
genre_facet Antarc*
Antarctic
Bering Sea
op_relation 000000009478
https://hdl.handle.net/10371/121183
_version_ 1766267791931867136